역사 사실의 객관적 인식

사편(史片)/그외 2012. 8. 15. 22:53 Posted by 아현(我峴)

역사 사실의 객관적 인식(이한구, <역사학 길잡이>, 경인문화사)

 

1.

  * 역사서술의 객관성을 긍정하는 사람들은 역사를 과거의 재현이라고 주장 → 실재론적 역사인식론

  * 역사서술의 객관성을 부정하는 사람들은 역사를 만들어낸 이야기, 즉 허구의 창작일고 주장 → 반실재론적 역사인식론

  * 실재론적 역사인식론 : 쓰여진 역사는 일어난 역사를 반영하는 것

 

2.

  * 실재론적 역사인식론은 사실의 발견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반실재론적 역사인식론은 사실이나 이야기의 창작과 연관

  * 반실재론적 역사인식론은 .... 인식 주관의 구성적 작업에 초점

  * 인식 주관이 갖고 있는 현재 인식의 틀이 문제

  * "역사는 과거라는 스크린이 비친 현재이다"

  * 현재주의 문제

    1) 현재주의는 과거란 완전히 사라진 시간으로 본다....현재가 과거를 재창조

    2) 현재주의는 우리가 과거에 대해 연구하는 이유는 오직 현재의 관심 때문이라고 주장....B. Croce-"현재의 삶에 대한 관심만이 과거를 탐구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이 과거의 사실은 현재의 삶의 관심과 하나가 된다"

  * 만약 우리가 사물을 중립적으로 바라보기 위해 우리가 갖고 있는 세계관의 틀을 벗어던진다면, 우리는 투명한 눈을 갖기는 커녕 아무것도 보지 못하게 된다.

  * 역사적 대상의 의미는 우리가 이미 갖고 있는 선판단에 의해 매개된 의미

  * "지속적으로 살아있는 전통의 작용과 역사적 탐구의 작용은 하나로 통일되어 작용한다"

 

3.

  * 객관적 역사서술의 가능성

    1) 역사는 다양하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지만, 이것이 역사를 제멋대로 해석해도 좋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a. 어떤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사물을 드러내는 관점 → 조망적 관점

      b. 어떤 틀을 통해 사물을 왜곡시키는 관점 → 투사적 관점

    2) 역사관 없는 역사서술은 맹목이고 객관적 역사서술 없는 역사간은 공허하다

  * 주관을 배제하고 사실 자체를 논의의 중심에 두어야 한다는 생각 .... 모든 관점을 부정적으로 보는 것

  * 아무런 관점없이 사물을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인식

  * 투사적 관점과 인식 상대주의와의 연결은 자연스러움, 반면 조망적 관점과 인식의 객관주의와 양립가능

    1) 우리가 사물을 아무리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 결과 서로 다른 판단을 내린다 할지라도, 그것은 자의적 견해의 투사나 허구가 아니라 여전히 어떤 국면에서 본 사물의 모습일 것이기 때문이다.

    2) 우리가 사물을 멀리서 볼 때와 가까이서 볼 때 모습이나 크기가 다르다 할지라도 관점의 조정을 통해 사물의 객관적인 인식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관점의 다양성을 용인하면서도 인식의 객관성을 추구하려고 할 때, 우리는 관점들을 전환시키고 통합시키는 기제들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

  * 하나의 관점에서만 고착되어 있는 경우와 자신의 관점에 대한 시각의 교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경우는 완전히 다르다고 해야 할 것이다

 

4.

  * 관점을 자유롭게 허용한다 해도 모든 관점이 동등한 위치에 있지 않다

  * 조망주의는 모든 해석이 같은 값을 갖는다고 주장할 필요가 없다

 

5.

  * 역사관의 문제....역사가를 지도하는 개념과 원리의 체계를 의미

  * 귀납적 관점 .... 역사관은 개별적 역사적 사실의 탐구를 기초로 해서 추상화 과저을 거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

  * 연역적 관점 .... 전체에 대한 이해는 개별적 사실의 연구에 선행된다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우리는 일정한 역사관에 기초해서 역사적 탐구를 추진하는 것

  * 귀납적 주장의 두 가지 잘못

    1) 이런 주장은 순수한 경험이나 관찰이 가능한 것으로 전제

    2) 개별적인 사물들을 종합할 때 어떤 틀 없이도 가능한 것으로 상정

  * 역사관의 특징

    1) 역사관은 역사서술의 선험적 조건이다

    2) 역사관의 내적 구조는 비판적 합리주의의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에 기초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고 정식화될 수 있다.

    3) 역사관은 그 자체로 정당화된 것이 아니라 정당화되어야 할 중핵가설이다

  * 역사관의 비교

    1) 새로운 역사관은 지금까지 관계없던 사물들이나 사실들을 통일적으로 연관지을 수 있어야 한다

    2) 새로운 역사관은 독자적으로 시험 가능해야 한다

    3) 새로운 역사관은 보다 엄격한 시험들을 통과해야 한다

 

6.

  * 한국사학계

    1) 실증사학 .... 실증을 중시하는 역사학 .... 역사관을 거부하거나 무시

    2) 민족주의 사학 .... 민족사관이라는 역사관 아래서 역사를 봄 .... 민족을 초역사적 실체로서 신비화시키는 경향, 민족은 창조된 역사적 산물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민족사관은 보편사의 시각이 약함

    3) 사회경제사학 .... 넓은 의미로는 사회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보는 사학이지만, 좁은 의미로는 유물론 사학을 의미 .... 지나치게 도식적

 

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