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미술의 재발견

사편(史片)/전통문화 2010. 11. 30. 15:19 Posted by 아현(我峴)

한국 전통미술의 재발견-1960~70년대를 중심으로(조인수, <전통> 인물과사상사, 2010)

* 위대한 한민족은 당연히 찬란한 미술을 창조한다는 것

1. 한국미술과 전통담론
  ① 한국미술에서 전통을 논하기 어려운 이유 : 전통이라는 용어의 뜻이 다양
      * 역설적으로 우리가 널리 사용하는 전통은 전통적인 것이 아님
      * 전통의 2가지 일상적인 쓰임
         1) 시간적 기준으로 현대와 대비되는 과거-변형없이 남아 있는 것도 포함
         2) 문화적 측면에서 지금도 계승해야 할 과거의 좋은 관습
  ② 민족주의적 입장으로 인한 문제 : 학문적 객관성이 결여
  ③ 미술, 미술사의 보수적 태도 : 하층과 여성의 미술 배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물건 무시

2. 1960~70년대 문화정책과 문화재 관리
  * 국보와 보물의 중점보호주의는 국가 중심적 개념
  * 지정제도에서는 문화재 자체의 가치보다는 국가에서 인정한 공신력이 중요해짐
  * 번호는 지정순서에 불과하나 1호에 대한 상징성 논란이 불거짐
  * 박정희는 1971년 7월 16일, "신라고도를 웅대, 찬란, 정교, 활달, 진취, 여유, 우아, 유현의 감이 살아날 수 있도록 개발하라" 지시
  * 6~70년대 문화재 보수사업이 집중된 것은 호국선현과 국방에 관한 유적이 대부분
  * 1966년 시작된 현충사 종합정화사업은 이후 대규모 문화재 정화 사업의 효시
  * 이순신에 대한 과도한 숭배는 내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상징적 담론의 대표적 사례
  * 1973년 10월 20일 문예부흥선언
  * 세계 문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자랑스러운 전통을 시급하게 필요로 하였기에 국가가 나서서 전통을 보존하고 발굴하고 재창조
  * 정체기로 간주되었던 조선의 왕실문화나 일상생활 속에서 향유되었던 선비문화를 보여주는 미술품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3. 1960~70년대 한국미술사 연구
  * 미술사학과 정부의 문화정책 모두 전통미술의 민족적 의미를 부각시킨다는 것이 공통점
  * 미술에서 민족적 자부심이나 민족성의 존재를 입증하는 것
  * 양식사가 발달
  * 그러나 정작 한국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명쾌한 답은 제시하지 못함

4. 앞으로의 전망
  * 유적지를 답사하는 것은 조상의 거룩한 발걸음을 되새기는 순례의 길로 인식. 그러나 화려한 과거를 찾는 것은 현재에 대한 보상심리
  * 전통에 관한 가장 근본적인 질문은 전통이란 것이 대체 무엇이며 왜 그것을 문제삼는가이다.

아현.